본문 바로가기
CONCEPT/OS

[OS] 가상 메모리 - 연속 메모리 할당, 스와핑, 페이징

by 1005 2025. 3. 18.

 

스와핑 = 메모리 관리 기법

 

현재 당장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보조 기억장치의 일부 영역(=swap 영역)으로 쫓아내는 과정을 "Swap Out"이라고 함. Swap영역에 있었던 프로세스가 다시 메모리로 적재되는 것을 "Swap In"이라고 함.

swap in, swap out 과정을 다수 실행하며 실제 물리 메모리보다 큰 모든 프로세스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빈 공간을 하나로 합치고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버헤드를 야기할뿐 아니라 프로세스들은 자기가 해야될 일을 제대로 못하는 상황이 발생함.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이지 테이블"이 필요함.
많은 전공서에서는 기본적으로 "페이지의 크기는 전부 균일하다"라고 정의하지만 실제로는 대형 페이지(huge page)라고 하는 예외적인 페이지도 존재한다.


<5,2> -> <1,2> : 8번지+2번지 따라서, 물리 주소공간 10번지에 접근함.
보호 비트: 페이지에 접근할 권한을 제한해서 페이지를 보호하는 비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