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프런39

[네트워크] 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 지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는 새로 만들어지고 있고, 모든 프로토콜이 모든 모델의 특정 계층에 완벽히 대응되지는 않음. 따라서, 네트워크 참조 모델을 규칙으로 생각하거나 반드시 지켜야되는 불문율이라고 생각하면 안됨.= 즉, 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나 특정 계층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가 아니고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속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 트래픽(traffic) -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 - 주로 노드에서 측정: "특정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 - 과도한 트래픽이 야기하는 문제: 과부하(성능 저하) 발생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이 무한히 많았다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트래픽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의 양은 정해져.. 2025. 3. 30.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구조 (미시적) "두 대의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을 기준으로 설명할 예정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1) 프로토콜 - 현대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패킷"을 주고받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사용함.- 패킷은 소포, 택배와 유사한 개념임.   -  멀리 떨어진 '영수(수신지 호스트)'에게 택배로 책을 선물    1) 선물할 책(페이로드)을 택배 상자에 넣기  2) 배송 주소 등 택배 기사가 읽을 메시지(헤더)를 작성하고 첨부  3) 택배 기사(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발송 - 택배를 올바르게 주고 받으려면? 언어가 통해야 함. :  '나'와 '영수'가 이해하는 언어 = '나'와 '택배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택배 기사'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프로토콜(protocol): 노드 간에 정보.. 2025. 3. 30.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구조 (거시적)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여러 개의 장치가 마치 그물처럼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 자료구조: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표현할 것인지를 배우는 컴퓨터공학과 과목통신망은 "그래프"라는 즉,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표현함. - 인터넷(internet):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한 것.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들은 한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도 가능하고 네트워크 간에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 (1) 네트워크 기본 구조 그래프(graph): 노드(node)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    -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 호스트: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고받는 .. 2025. 3. 24.
[OS] 파일 시스템 USB 포매팅 예시,파일 시스템은 포매팅할 때 결정된다.                     네모박스 하나하나는 "블록"을 의미한다.블록 안에 적힌 번호는 블록의 위치를 식별하는 "주소"이다. 파일을 저장할 때 파일의 크기가 작다면 적은 수의 블록에 걸쳐서 저장된다. 크기가 크다면 여러개의 블록에 걸쳐서 저장된다.        단점1 설명)임의의 위치에서부터 파일을 읽고 싶을 때 읽어들이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수가 있다.예를들면 파일 a의 중간부터 읽고싶어도 반드시 첫번째 블록인 10번 블록부터 모든 과정을 차례로 읽어야한다.파일a의 길이는 4이지만, 길이가 큰 파일의 경우 처음부터 모든 과정을 순차적으로 읽는다면 속도가 더욱 느려져 성능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단점2 설명)하드웨어 고장이나 오류가 발생.. 2025. 3. 20.
[OS] 파일, 디렉터리(폴더) * 파일 시스템(file system): 파일과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운영체제 내의 프로그램, 파일과 디렉터리를 다루어 주는 프로그램* 파일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 - 의미 있고 관련 있는 정보를 모은 논리적 단위 - 파일을 이루는 정보: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 부가 정보 (= 속성, 메타 데이터) 2025. 3. 20.
[OS] 페이지 교체와 프레임 할당 페이징을 통해서 물리 메모리보다 큰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물리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있다.      참조 비트 1: 한번 더 기회 줌(참조 비트 0으로 초기화 후 적재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설정함. )참조 비트 0: 내쫓기    "균등 할당, 비례 할당"은 프로세스의 실행 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프로세스의 크기나 물리 메모리의 크기만 고려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정적 할당 방식"이라고도 부른다.   작업 집합 모델 기반의 프레임 할당 방식과 페이지 폴트 빈도 기반의 프레임 할당 방식은 모두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프레임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방식은 "동적 할당 방식"이라고 부른다. 2025. 3. 18.
[OS] 페이징의 이점, 계층적 페이징 페이징은 2단계, 3단계 그 이상으로도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계층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페이지 폴트가 발생했을 경우에 메모리를 참조해야되는 횟수가 그만큼 많아지기 때문에 계층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좋다라고 보기 어렵다. * 페이지 폴트: 내가 참조하고자 하는 그 페이지가 현재 메모리에 없는 상태를 지칭함. 2025. 3. 18.
[OS] 가상 메모리 - 연속 메모리 할당, 스와핑, 페이징 현재 당장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보조 기억장치의 일부 영역(=swap 영역)으로 쫓아내는 과정을 "Swap Out"이라고 함. Swap영역에 있었던 프로세스가 다시 메모리로 적재되는 것을 "Swap In"이라고 함. 2025. 3. 18.
[OS] 교착상태 - 발생조건 4가지 / 해결방법 4가지 * 교착상태: 일어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며 진행이 멈춰 버리는 현상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첫째, 교착 상태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을 정확히 표현해보기       둘째, 교착 상태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이유 이해하기                  (예시- 안전순서열O = 안전 상태)    (예시- 안전순서열X = 불안전 상태)  교착상태가 아주 드물게 발생한다면 잠재된 문제를 그냥 무시해버리자는 태도, 문제 발생의 빈도수나 심각성에 따라서 최대 효율을 추구하는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이 방식이 적합할 때도 있음. 2025. 3. 17.
[OS] 동기화 기법 3가지 - 뮤텍스(Mutex), 세마포어(Semaphore), 모니터(Monitor) * 뮤텍스 락: 상호배제를 위한 동기화 도구  * 세마포: 좀 더 일반화된 방식의 동기화 도구, 공유 자원이 여러 개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p.s. 뮤텍스 락은 공유 자원이 하나만 있음. 이진 세마포와 비슷함.     * 모니터 2025.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