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징을 통해서 물리 메모리보다 큰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물리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있다.










참조 비트 1: 한번 더 기회 줌(참조 비트 0으로 초기화 후 적재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설정함. )
참조 비트 0: 내쫓기














"균등 할당, 비례 할당"은 프로세스의 실행 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프로세스의 크기나 물리 메모리의 크기만 고려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정적 할당 방식"이라고도 부른다.








작업 집합 모델 기반의 프레임 할당 방식과 페이지 폴트 빈도 기반의 프레임 할당 방식은 모두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프레임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방식은 "동적 할당 방식"이라고 부른다.
'CONCEP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파일 시스템 (0) | 2025.03.20 |
---|---|
[OS] 파일, 디렉터리(폴더) (0) | 2025.03.20 |
[OS] 페이징의 이점, 계층적 페이징 (0) | 2025.03.18 |
[OS] 가상 메모리 - 연속 메모리 할당, 스와핑, 페이징 (0) | 2025.03.18 |
[OS] 교착상태 - 발생조건 4가지 / 해결방법 4가지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