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CEPT/OS

[OS] 페이지 교체와 프레임 할당

by 1005 2025. 3. 18.

페이징을 통해서 물리 메모리보다 큰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물리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있다.  

물리 메모리는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운영체제는 위 두가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함.

 

순수 요구 페이징: 아무런 페이지도 메모리에 적재하지 않은 채 일단은 무작정 실행부터 해버리는 방법을 의미함.

 

 

어떤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통해서 페이지를 swap out 시켰더니 페이지 폴트가 자주 발생한다면 그 말은 보조기억장치로 내쫓아야 될 페이지를 잘못골랐다고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컴퓨터의 성능을 저해시키는 나쁜 알고리즘을 사용한 것이다.
2 2 2 3 5 5 5 3 3 7 ---> 2 3 5 3 7


페이지 교체에서 발생하는 페이지 폴트만 페이지 폴트로 간주함.


 

참조 비트 1: 한번 더 기회 줌(참조 비트 0으로 초기화 후 적재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설정함. )

참조 비트 0: 내쫓기

기존 FIFO 알고리즘은 페이지 3을 내쫓지만, 보완된 FIFO 알고리즘은 페이지 1을 내쫓음.

 



 



Thrashing
멀티 프로그래밍의 정도: 메모리에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수

 

"균등 할당, 비례 할당"은 프로세스의 실행 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프로세스의 크기나 물리 메모리의 크기만 고려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정적 할당 방식"이라고도 부른다.

 

 

 

작업 집합 모델 기반의 프레임 할당 방식과 페이지 폴트 빈도 기반의 프레임 할당 방식은 모두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프레임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방식은 "동적 할당 방식"이라고 부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