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54 [Q] Row Data, Metadata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19. [Q] static 멤버, instance 멤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3. [C#] 함수, 객체지향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3. [네트워크] 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 지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는 새로 만들어지고 있고, 모든 프로토콜이 모든 모델의 특정 계층에 완벽히 대응되지는 않음. 따라서, 네트워크 참조 모델을 규칙으로 생각하거나 반드시 지켜야되는 불문율이라고 생각하면 안됨.= 즉, 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나 특정 계층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가 아니고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속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 트래픽(traffic) -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 - 주로 노드에서 측정: "특정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 - 과도한 트래픽이 야기하는 문제: 과부하(성능 저하) 발생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이 무한히 많았다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트래픽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의 양은 정해져.. 2025. 3. 30.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구조 (미시적) "두 대의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을 기준으로 설명할 예정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1) 프로토콜 - 현대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패킷"을 주고받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사용함.- 패킷은 소포, 택배와 유사한 개념임. - 멀리 떨어진 '영수(수신지 호스트)'에게 택배로 책을 선물 1) 선물할 책(페이로드)을 택배 상자에 넣기 2) 배송 주소 등 택배 기사가 읽을 메시지(헤더)를 작성하고 첨부 3) 택배 기사(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발송 - 택배를 올바르게 주고 받으려면? 언어가 통해야 함. : '나'와 '영수'가 이해하는 언어 = '나'와 '택배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택배 기사'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프로토콜(protocol): 노드 간에 정보.. 2025. 3. 30. [Q] 파일 입출력(FileReader, BufferedReader), 스트림(InputStream, OutputStream)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3. 27. [Q] Collection과 Iterator의 관계 * Iterator ✅ 이터레이터는 java.util.Iterator 인터페이스로, 컬렉션(List, Set 등)의 요소를 순회할 때 사용됨. * Collection✅ 컬렉션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바의 프레임워크!✅ 모든 컬렉션은 iterator() 메서드를 가지고 있어서, Iterator 객체를 얻을 수 있음. ex) 우리가 책을 보관하는 책장(collection)이 있고, 그곳에는 책(컬렉션 안에 들어갈 객체)가 있습니다. 이 책장은 도서관 사서(iterator)가 관리합니다. - Iterator는 제네릭 인터페이스이므로, 부분에 String, Integer 같은 타입을 넣어서 사용함. - ArrayList, HashSet 같은 컬렉션에서 요소를 하나씩 순회(.. 2025. 3. 27.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