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착상태: 일어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며 진행이 멈춰 버리는 현상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착 상태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을 정확히 표현해보기
둘째, 교착 상태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이유 이해하기
(예시- 안전순서열O = 안전 상태)
(예시- 안전순서열X = 불안전 상태)
교착상태가 아주 드물게 발생한다면 잠재된 문제를 그냥 무시해버리자는 태도, 문제 발생의 빈도수나 심각성에 따라서 최대 효율을 추구하는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이 방식이 적합할 때도 있음.
'CONCEP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페이징의 이점, 계층적 페이징 (0) | 2025.03.18 |
---|---|
[OS] 가상 메모리 - 연속 메모리 할당, 스와핑, 페이징 (0) | 2025.03.18 |
[OS] 동기화 기법 3가지 - 뮤텍스(Mutex), 세마포어(Semaphore), 모니터(Monitor) (0) | 2025.03.17 |
[OS] 동기화 (프로세스, 스레드) (0) | 2025.03.16 |
[OS]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7가지 (0) | 2025.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