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53 [Q] 마크업 언어(Markup) vs 마크다운 언어(Markdown)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3. 3. [Q] Node.js와 Express의 관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3. 3. [Q] 코드 - 문서화, 생성, 리팩토링, 고복잡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3. 3. [Q] Frontend / Backend 컴파일러 언어는 기계 친화적이고 인터프리터 언어는 사용자 친화적이다. 인터프리터 언어로 개발을 하면 상대적으로 속도감있게 개발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빠른건 아니다. codesandbox.io/templates https://codesandbox.io/templates codesandbox.io 2025. 3. 3. [OS] 커널, 이중 모드, 시스템 콜 스마트폰의 기능은 다양하지만 핵심 기능이 전화, 문자이듯운영체제가 제공하는 기능은 다양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가 존재한다.운영체제의 핵심 서비스를 담당하는 부분을 커널(kernel)이라고 한다.e.g. 핵심적인 서비스 = 자원에 접근하고 조작하는 기능, 프로그램이 올바르고 안전하게 실행되게 하는 기능 Q) 운영체제에는 속하는데 커널에는 속하지 않는 기능은?: 유저 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통로일 뿐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커널)은 아님. Q) 사용자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자원에 직접 접근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응용프로그램은 자원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운영체제는 오직 자신을 통해서만 접근하도록하여 자원을 보호한다. = 자원 접근을 대행하는 문지기 역할 self-learni.. 2025. 2. 22. [Q] EHCache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21. [OS]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을 위해 자원을 필요로 한다.운영체제는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운영체제 덕분에 개발자는 하드웨어를 조작하는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다. 자원/시스템 자원: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 마땅히 필요한 요소* 마땅히 필요한 요소: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 포함! Q) 운영체제를 알아야하는 이유는?: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그렇기에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자는 운영체제를 알아야 한다.=> 개발자가 만드는 프로그램은 결과적으로 운영체제한테 도움을 받으면서 실행된다. 만약에 개발자가 만든 프로그램이 어떤 문제가 발생한다면 그 문제는 운영체제가 가장 먼저 알아챈다. 하드웨어와 가장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 2025. 2. 21.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