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는 새로 만들어지고 있고, 모든 프로토콜이 모든 모델의 특정 계층에 완벽히 대응되지는 않음.
따라서, 네트워크 참조 모델을 규칙으로 생각하거나 반드시 지켜야되는 불문율이라고 생각하면 안됨.
= 즉, 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나 특정 계층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가 아니고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속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
* 트래픽(traffic)
-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
- 주로 노드에서 측정: "특정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
- 과도한 트래픽이 야기하는 문제: 과부하(성능 저하) 발생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이 무한히 많았다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트래픽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의 양은 정해져 있고 한 노드가 처리할 수 없을만큼 과도한 트래픽이 한 노드에 몰릴 경우에는 과부하로 인한 성능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을 측정하는 것이다.
< 네트워크 성능 지표 >
* 처리율(throughput)
-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로 전송되는 정보량
* 대역폭(bandwidth)
- 신호 처리 영역에서의 정의: 주파수의 범위
- 컴퓨팅 영역에서의 정의: 단위 시간 동안 통신 매체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최대 정보량
- 정보를 주고받을 폭
- bps, Mbps, Gbps 단위 사용
* 패킷 손실(packet loss)
- 송수신되는 패킷이 손실된 상황
- 손실된 패킷 수, 전체 패킷 / 유실된 패킷 (백분위) 사용
* ping: 네트워크에서 특정 IP주소가 응답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CONCEP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구조 (미시적) (0) | 2025.03.30 |
---|---|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구조 (거시적)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