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0

[C#] MDI (Multi Document Interface)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4.
[SQL] 데이터베이스 모델, 스키마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930&v=aL0XXc1yGPs&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www.inflearn.com%2F&source_ve_path=MTM5MTE3LDEzOTExNywyODY2MywxMzc3MjEsMjg2NjY - data models: DB 구조를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념들이 모인 집합. DB구조를 추상화해서 표현하는 수단.- DB구조: 데이터 유형, 데이터 관계, 제약 사항 등   - database schema: data model을 바탕으로 database의 구조를 기술한 것. database를 설계할 때 정해지며 한번 정해진 후 자주 바뀌지 않음. - databse state = sn.. 2025. 4. 3.
[C#] 윈폼 응용프로그램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3.
[Q] static 멤버, instance 멤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3.
[C#] 함수, 객체지향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3.
[C#] 배열, 반복문, 조건문, 예외처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2.
[C#] 단축키, 형변환, 연산자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2.
[Python] 함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1.
[네트워크] 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 지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는 새로 만들어지고 있고, 모든 프로토콜이 모든 모델의 특정 계층에 완벽히 대응되지는 않음. 따라서, 네트워크 참조 모델을 규칙으로 생각하거나 반드시 지켜야되는 불문율이라고 생각하면 안됨.= 즉, 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나 특정 계층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가 아니고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속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 트래픽(traffic) -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 - 주로 노드에서 측정: "특정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 - 과도한 트래픽이 야기하는 문제: 과부하(성능 저하) 발생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이 무한히 많았다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트래픽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노드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의 양은 정해져.. 2025. 3. 30.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구조 (미시적) "두 대의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을 기준으로 설명할 예정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1) 프로토콜 - 현대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패킷"을 주고받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사용함.- 패킷은 소포, 택배와 유사한 개념임.   -  멀리 떨어진 '영수(수신지 호스트)'에게 택배로 책을 선물    1) 선물할 책(페이로드)을 택배 상자에 넣기  2) 배송 주소 등 택배 기사가 읽을 메시지(헤더)를 작성하고 첨부  3) 택배 기사(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발송 - 택배를 올바르게 주고 받으려면? 언어가 통해야 함. :  '나'와 '영수'가 이해하는 언어 = '나'와 '택배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택배 기사'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프로토콜(protocol): 노드 간에 정보.. 2025. 3. 30.